심미법화전 心迷法華轉이요
심오전법화 心悟轉法華니라
마음이 미혹하면 법화경이 나를 굴리고
마음을 깨달으면 내가 법화경을 굴린다.
고령신찬古靈神贊 선사는 어느 날 자기의 스승이 창 밑에서 경전 읽는 모습을 바라보고 있었습니다.
그 때 마침 벌이 창호지에 부딪치면서 나가려고 애쓰는 것을 쳐다보며 말했습니다.
“세계가 저렇게 넓은데도 나가지 못하고 묵은 종이만 두드리고 있으니 어찌할 수가 없구나.”그 말을 듣고 있던 스승은 그 자리에서 경전을 덮어 버렸습니다.
이것이 종문宗門에 전해오는 ‘신찬간경神贊看經’ 공안입니다. 그 전말前末은 이러합니다.
고령신찬 선사는 은사의 절인 대중사大中寺에서 공부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스승을 하직하고 행각을 떠나 백장회해百丈懷海 선사 회상에서 정진하여 안목이 열린 후 다시 본사로 돌아오게 됩니다. 그러자 은사가 물었습니다.
“그대는 내 곁을 떠나 무슨 공부를 하였기에 이제사 왔는가?”“아무런 공부도 익히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나서 그는 다시 은사를 도우면서 절일을 거들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그의 스승이 창 밑에서 경전을 읽고 있는데 벌이 들어왔다가 창호지에 부딪쳐서 나가지도 못하면서 계속 나가려고 애쓰고 있는 중이었습니다.
그래서 신찬 스님이 말했습니다.
“세계가 저렇게 넓은데도 나가지 못하고 묵은 종이만 두드리고 있으니 어찌할 수가 없구나.”이에 그의 스승이 놀라 경전을 덮고는 물었습니다.
“너는 행각하면서 누구를 만나 무슨 공부를 했느냐? 아까부터 너의 말을 듣고 있노라니 매우 이상하구나.”“저는 백장 선사 밑에서 마음이 쉬는 곳의 가르침을 받았는데 이제 스승의 덕을 갚으려는 것뿐입니다.”이에 그의 스승은 대중사의 모든 대중에게 알린 후 공양을 장만하고서 신찬 스님에게 법을 청하였습니다.
이에 선사께서 법상에 올라가 백장의 가풍을 드러내면서 법을 설하였습니다.
“신령스런 광채가 홀로 빛나서 영원히 육근六根과 육진六塵을 여의고서 초월했으니, 본체는 참되고 항상함을 드러내어 문자에 걸리지 않는다.
마음성품은 물들지 않기 때문에 본래부터 뚜렷이 이루어져 있으니 허망한 인연을 여의기만 하면 곧 여여如如한 부처이다.”그의 스승은 이 말에 그만 감복하고서 말했습니다.
“늘그막에 이러한 지극한 설법을 들을 줄 누가 알았겠는가.” 이는 ‘위찬고지爲鑽故紙’라고 하여 문자에 집착하는 경우를 가리키는 말로서 오늘까지 전해옵니다.
공부인은 마지막 관문에서 모든 문자를 여의고 오로지 화두 하나에 목숨을 내걸어야 함을 말하고 있습니다.
향엄지한香嚴智閑 스님은 스승인 위산山 선사에게 묻고 대답하기를 병 속의 물을 쏟아 내듯이 했으나 스승은 그의 학문이 건성일 뿐이요 근원을 깊이 통달한 것이 아님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의 말재주를 꺾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아침 위산 선사가 이렇게 물었습니다.
“지금껏 그대가 터득한 지식은 눈과 귀를 가지고 남으로 부터 듣고 보았거나 그렇지 않다면 경전이나 책자에서 본 것일 뿐이다.
나는 그것을 묻지 않겠다. 그대는 처음 부모의 태胎에서 갓 나와 동서東西를 분별하지 못할 때의 본분사本分事를 한마디로 일러 보아라.
내가 그대의 공부를 점검하고자 하노라.”
이에 스님은 대답을 하지 못한 채 고개를 숙이고 양구良久했다가 다시 이러쿵 저러쿵 몇 마디 했으나 모두 아니라는 대답을 들어야 했습니다. 그래서 한마디 일러줄 것을 청하니 위산 선사가 말했습니다.
“내가 대신 말하는 것은 옳지 않다. 그대 스스로가 말해야 그대의 안목이기 때문이다.”이 때 스님은 방으로 돌아가서 모든 경전을 두루 뒤졌으나 한마디도 그 대답에 부합되는 말이 없는 것이었습니다.
그러자 탄식하면서 마침내 그 경전들을 몽땅 불질러 버렸습니다.
그 때 어떤 학인이 가까이 와서 마음에 두고 있던 책을 가리키면서 자기에게 한 권만 달라고 조르는 것이었습니다. 그러자 스님은 말했습니다.
“내가 이것 때문에 평생 피해를 입었다. 그대가 요구해도 그 폐해를 아는 나로서는 줄 수가 없다.”그리고는 한 권도 남기지 않고 몽땅 태워 버렸습니다. 태우고 난 후 말했습니다.
“금생에 제대로 된 불법을 배우지 못했다. 내가 오늘까지 나를 당할 자가 없다고 생각했는데 오늘 위산 선사에게 한 방망이 맞고 나니 깨끗이 그 생각이 없어졌다.
이제 그저 정진하면서 여생이나 보내야겠다.”
그리고 위산 선사에게 하직을 고하고는 그 곳을 떠나게 됩니다.
그동안의 알음알이를 다 비워내고 본분자리를 찾겠다는 각오로 책을 태워 버리는 결단을 하였던 것입니다.
이는 본분자리가 문자에 있지 않다는 것을 제대로 안 것이라고 하겠습니다.
덕산선감德山宣鑑 선사는 《금강경》의 대가大家인지라 별명이 주금강周金剛이었습니다.
그런데 남쪽에서 ‘마음이 바로 부처이다’라고 주장하는 마구니들이 있다는 소리를 듣고는 그들을 쳐부수겠다고 하고는 《금강경》 주석서를 짊어지고는 길을 떠났습니다.
가다가 점심 때가 되자 배가 고팠습니다. 마침 길가에서 떡을 파는 노파를 만나게 되었습니다.
걸망을 내려놓고 떡을 사서 점심點心을 하려는데 그 노파가 물었습니다.
“등에 지고 있는 것은 무엇입니까?.”
“《금걍경》 주석서요.”
“내가 물어볼 것이 있습니다. 만약 대답하면 이 떡을 그냥 드리겠지만 대답하지 못한다면 설사 돈을 주더라도 떡을 팔지 않을 것입니다.”“물어보시오.”
“《금강경》에 ‘과거심불가득過去心不可得 현재심불가득現在心不可得 미래심불가득未來心不可得’이라고 했는데 스님께서는 어느 마음(心)에다가 점(點)을 찍으려 하십니까?”이에 그만 덕산 스님은 말문이 콱 막혀 버렸습니다. 천하의 선지식이라고 자부하고 있었는데 시골의 일개 노파에게 말문이 막혀 버린 것입니다. 중원中原 곳곳에 선지식이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안절부절못하고 있는 스님에게 노파는 그 해답을 알고 싶으면 용담숭신龍潭崇信 선사를 찾아가라고 일러 줍니다. 이에 덕산 스님은 노파가 시키는 대로 그 곳에 도착했습니다방장실로 들어가서 밤이 깊도록 자리를 떠나지 않고 곁에 있으니 용담 스님이 말했습니다.
“왜 너의 처소로 가지 않느냐?”
그제서야 시간이 오래 지났음을 알고서 인사를 드리고 문을 나서니 밖이 칠흑처럼 깜깜한 것이었습니다.
그러자 다시 문 안으로 들어와 말했습니다.
“문 밖이 어둡습니다.”
그러자 용담 스님은 종이에 불을 붙여 덕산 스님에게 건네 주었습니다.
덕산 스님이 이를 받으려는 찰나 용담 스님은 ‘후!’하며 불어 꺼버렸습니다.
그 순간 덕산 스님은 활연히 깨쳤습니다. 그리고 절을 올리니 용담 스님이 물었습니다.
“그대는 무엇을 보았기에 갑자기 절을 하는가?”
“저는 지금 이후부터 다시는 천하 선사스님네들을 의심하지 않겠습니다.”이튿날 덕산 스님은 《금강경》 주석서를 법당 앞에 갖다 놓고 횃불을 들고서 말했습니다.
“현묘한 변론을 다하여도 마치 넓은 허공에 한 오라기의 털을 둔 것과 같고, 세간의 가장 중요한 것을 모두 갖추었다 하더라도 이는 큰바다에 물 한방울을 던지는 것과 같다.”그리고는 그 책을 태워 버렸습니다.
경전의 말씀은 집착을 가장 경계합니다. 부처님 제자들은 부처님을 최고로 받들고 귀의하지만 때로는 부처님을 꾸짖기도 합니다. 이것은 모두가 자기 자신에 철저하여 남에게 의지하지 않으며, 자기 스스로 깨치는 것을 귀하게 여기고 남이 깨우쳐 주기를 바라지 않기 때문입니다.
자기 자신을 버리고 남의 말을 좇다가 보면 자기 자신마저도 잃어 버리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간화선看話禪을 완성한 대혜종고大慧宗 선사는 야호선野狐禪을 물리치면서 스승 원오극근悟克勤 선사가 편집한 종문의 제일서적이라는 《벅암록》을 손수 불태워 버렸던 것입니다.
임제臨濟 선사에게 어떤 납자가 물었습니다.
“무엇이 경전을 불사르는 것입니까?”
“인연이 비고 몸과 마음과 법이 공空함을 보고서 결정코 일념一念이 되어 초연히 아무 일 없으면 그것이 경전을 불사르는 것이다.”
염차투창봉 念此投窓蜂하니
미도부지반 迷途不知返이로다
출문세계관 出門世界寬이요
장안로평탄 長安路平坦이로다
창문에 부딪치는 벌레를 생각컨대
미혹한 길에서 돌아설 줄 모르네
문을 나서면 세계는 넓고 넓으니
장안의 길거리가 평탄키만 하여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임제록 강설 (0) | 2012.02.28 |
---|---|
[스크랩] 능엄주 뜻과 발음 (0) | 2012.02.12 |
하루동안 어떤수행을 할까 (0) | 2012.02.11 |
[스크랩] 중용(21장~33장) (0) | 2011.12.28 |
[스크랩] 중용 해설(11장 귀신 ~20장) (0) | 2011.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