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문백답20

화엄경 52위 52위의 출전을 살펴보면, 먼저 화엄경(華嚴經)의 성불계차(成佛階次)는 범부(凡夫)가 발심(發心)하고 수행하여 최고의 깨달음인 불과(佛果)를 증득함에 있어서는 십신(十信), 십주(十住), 십행(十行), 십회향(十廻向), 십지(十地), 등각(等覺), 묘각(妙覺)의 52계위(皆位)를 거쳐 마지막 53번째.. 2015. 12. 24.
정화, 개혁, 왕권 그리고 남방불교 [논단] 정화, 개혁, 왕권 그리고 남방불교 / 황순일 [53호] 2013년 03월 21일 (목) 황순일 sihwang@dongguk.edu 1. 들어가는 말 남방불교에서 있었던 교단의 정화와 종단개혁의 역사는 주로 왕권과 밀접하게 연결되어서 일어났다. 종교와 국가가 분리된 현대적 관점에서 보면 왜 남방불교의 여러 교단.. 2015. 11. 24.
6사 외도 "나 자신은 모든 것을 승인하지 않는다." "만일 그대가 '자신은 모든 것을 승인하지 않는다'라고 말한다면, 그렇게 말하는 그대 자신의 견해는 승인하는가?" "그러한 견해도 나는 승인하지 않는다." "만약 그대가 그러한 자기 자신의 견해를 승인하지 않는다면, '나 자신은 모든 것을 승인하.. 2015. 11. 24.
목탁의 유래 목탁은 물고기 처럼 생겼는데, 물고기는 잠을 잘때도 눈을 감지 않느다고 합니다. 그래서 수행자들이 목탁을 침으로서 졸음을 쫒아내어 더 열심히 수행하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목탁의 유래를 살펴보면, 옛날 어느 절에 덕 높은 스님이 몇 사람의 제자를 가르치고 있었습니다. .. 2015. 4. 17.